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독서10

잠들기 전에 읽는 인문학 365 ( 004 카오스 ) 카오스태초에는 시간과 하늘과 땅이 마구 뒤섞여 있었던카오스(Chaos)만이 존재했다. 우주가 생성되는 그 순간에우주가 벌어져 틈이 생겼다는 의미이다.시간이 존재하기 전 넓고 끝없는 공간인 우주에서최초의 존재가 카오스에서 만들어졌다. 사랑의 신 에로스, 대신의 여신 가이아, 지하 세계인 타르타로스,밤인 닉스, 어둠인 에레보스. 에로스는 인간의 정신을 지배하며, 사랑을 표현하는존재이며 모든 생명 탄생의 원리를 구체적으로표현하는 존재이다. 가이아는 스스로 하늘의 신 우라노스와바다의 신 폰토스를 낳았다. 지하 세계인 타르타로스는 어둡고 황량하고 생명이 없는 곳이다.타르타로스는 강력한 힘을 가졌지만,인격화되어 있지 않았다. 닉스는 '검은 날개를 단 밤'이라는 뜻을 지녔다.에레보스라는 별도의 존재를자기로부터 분화시.. 2024. 9. 30.
잠들기 전에 읽는 인문학 365(003탈레스) 탈레스(기원전 624~기원전 546)는 최초의 유물론학파인밀레투스학파의 시조이며, 철학의 아버지로 불린다.기하학, 천문학, 수학에 정통하고 일식을 예언하기도 했다.당시 그리스인들은 그를 '지혜 있는 사람'의 상징으로 여겼다. 소아시아의 항구도시인 밀레투스에서 태어났고 이집트로 넘어가그곳에서 수학과 천문학을 비롯하여 화학, 약학, 의학 등의 많은 지식을 배우고연구했다.다시 밀레투스로 돌아온 탈레스는 은둔생활을 하면서 천체현상을 관찰하는데몰두했다. 텔레스는 별을 관찰하다가 앞날을 예측하게 되었다. 올리브 농장인들이 올리브 농사 대신 포도 농사로 바꾸게 되었고그 후 올리브 기름틀을 모두 사들였다.이후 농장인들이 다시 올리브 농사를 짓게 되었고 덕분에탈레스는 막대한 이익을 얻게 되었다. 탈레스는 '만물은 물이다.. 2024. 9. 28.
잠들기 전에 읽는 인문학 365(002 메소포타미아) 메소포타미아는 고대 그리스어로 '두 강 사이에 위치해 있는 지역'이라는 뜻이라고 한다. 현재는 이라크 수도 바그다드 부근을 경계로 하여 북부의 아시리아와 남부의 바빌로니아로 나누어진다. 티그리스와 유프라테스강은 티르키에의 토로스 산맥과 자스로스산맥에서 발원하여 남동쪽으로 흘러 바라스 근처에서 만난다. 수메르인이 메소포타미아문명을 일으켰다. 수메르인은 기원전 2500년경 우르 제1왕조 시대에 전성기를 맞는다. 점토가 문명의 기초를 이루고, 설형문자가 문명과 점토와의 관계가 밝혀졌고, 태음력과 60진법을 만들었다. 1년을 12개월로, 일주일을 7일로 정했다. 이 모든 것이 메소포타미아에서 비롯되었다. 문자의 등장으로 우르 제3왕조 시대에 가 지어졌다. 수메르 신화의 다양한 이야기가 있다. 수메르인들은 여러 .. 2024. 9. 27.
잠들기 전에 읽는 인문학 365 (001 호메로스) 서사시 ,의 저자인 호메로스(기원전 800~기원전 750)는그리스의 시각장애인 음유시인이다. * 서사시: 발흥기, 재건기의 민족이나 국가의 웅대한 정신을 신 혹은 영웅을 중심으로 하여 읊은 시 ,는 기원전 6세기부터 그리스의 교과서였다.두 작품은 그리스의 언어와 문학 및 조형 미술에 큰 영향을 주었고,그리스인들의 자의식 형성에도 많이 도움이 되었다.호메로스의 서사시는 인간으로서 겪는 모험과 인간이라고 불리려면반드시 알아야 할 인간적 삶을 노래했기 때문에그리스 문화 형성의 뿌리가 되었다는 평가를 받는다.그러나 플라톤과 크세노파네스 등은 호메로스에 나오는 신들의 부도덕함으로젊음이들의 교육에 부적합하다고 비판하기도 했다.한편 아리스토텔레스와 로마의 시인인 호라티우스는 호메로스를 극찬했다.로마 문학의 대표인 베.. 2024. 9. 26.
반응형